황기의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달다.
비장, 폐로 귀경한다.
효능
기운을 내게 하는 대표 약재다. 기를 위로 올리고 위기를 강하게 한다. 체표(몸의 겉 부분)를 튼튼하게 하고 창상, 종기의 독을 제거하여 새살을 잘 나게 한다. 수종, 부종에 좋고 땀을 멈추게 한다. 강심작용을 하고 간을 보호한다.
기혈부족으로 힘이 없고 땀을 흘리며 감기에 잘 걸리는 체질에 좋다. 비장이 허약해 설사를 자주 하는데 효과가 있다. 위하수, 자궁하수, 탈장에 효과가 있다. 만성간염, 만성신장염, 백세포감소증, 암, 당뇨에 좋다. 만성궤양이나 상처가 잘 아물지 않는데 좋다. 심기부족, 심기능부전증에 좋다.
주의 & 부작용
염증, 전염병으로 열이 날 때 좋지 않다.
체하여 배가 더부룩하고 속에 열이 날 때는 먹지말 것.
창양*, 양증*, 실증*에 좋지 않다.
*창양(瘡瘍) : 몸 겉에 생기는 여러 가지 외과적 질병과 피부 질병을 통틀어 말한다. 창양에는 종양과 궤양 · 옹(癰) · 저(疽) · 정창(疔瘡) · 절종(癤腫) · 유주(流注) · 유담(流痰) · 나력(瘰癧) 등이 포함되며 임상에서 자주 본다. 창양은 흔히 사독(邪毒)이 침입하고 사열(邪熱)이 혈을 상하여 기혈이 몰려서 생긴다.
*양증(陽證) : 팔강변증(八綱辨證)의 하나. 병을 음양(陰陽)의 속성으로 갈라 볼 때 양에 속한 병증인 표증(表證) · 열증(熱證) · 실증(實證)을 말한다. 음증(陰證)에 상대되는 말이다. 일반 증상은 열과 오한이 나고 얼굴이 벌게지며 머리가 아프고 서늘한 것을 좋아하며 안절부절못하며 입술이 말라서 터지고 갈증이 나서 물을 마시며 말소리와 숨결이 거칠어지고 변비가 오며 배가 아파서 만지지 못하게 하며 소변은 벌거면서 양이 적고 누런 설태가 껴서 말라 있으며 맥박 상태는 부(浮) · 홍(洪)하고 삭(數)하면서 힘있게 뛰는 것이다.
양 자체에 생긴 병증. 예를 들면 양허증(陽虛證) · 망양증(亡陽證) 등이다.
*실증(實證) : 팔강변증(八綱辨證)의 하나. 사기(邪氣)가 왕성한 증을 말한다. 몸의 기능 장애로 기혈(氣血)이 울결(鬱結)된 것, 수음(水飮), 담음(痰飮), 식적(食積), 충적(蟲積), 징가(癥瘕), 적취(積聚) 등은 다 실증에 속한다. 주요 증상은 열이 몹시 나고 얼굴이 벌게지며 갈증이 나고 안절부절못하며 심하면 정신이 혼미해지고 헛소리를 하며 배가 그득해지면서 아픈 데 눌러주는 것을 싫어하며 대변이 굳어지고 소변은 벌거며 누런 설태가 두껍게 끼고 맥박 상태가 실(實)하고 힘이 있는 것이다. 부위에 따라 표실증(表實證)과 이실증(裏實證)으로 나눈다.
요리 & 응용
황기는 어느 음식 재료와도 잘 어울린다. 특히 닭, 오리와 배합하여 많이 먹어왔으며 당귀와 함께 먹으면 보혈한다.
• 황기죽 : 황기와 쌀로 죽을 끓여 먹으면 비장 허약으로 통혈작용을 못해 출혈하는데 효과가 있다.
• 황기대추죽 : 황기, 만삼, 감초, 쌀, 대추로 죽을 만들어 먹으면.기운이 없을 때 좋다.
• 황기닭죽 : 황기, 닭, 쌀로 죽을 만들어 먹으면 병을 앓은 후 회복하는데 좋다.
• 황기상소죽 : 상표초, 황기, 용골, 모려, 쌀, 설탕으로 죽을 만들어 소금 간하여 먹으면.어린이 요실금에 효과가 있다.
• 황기탕 : 황기, 진피, 화마인. 화마인은 갈고 황기와 진피는 푹 끓여 즙을 낸다. 즙에 간 화마인을 넣고 꿀을 타 먹으면 기가 허해서 생기는 변비에 효과가 있다.
기타
황기는 보약중에 장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현대의학연구에 황기는 정상 심장은 수축력을 강화시키고 기운이 약해진 심장은 강하게 만든다. 간당원 감소를 억제하여 만성간염환자에게 아주 좋다. 혈관을 확장시켜 피부혈액순환에 좋다. 면역력 강화, 노화를 방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