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자의 성질은 따뜻하며 맛은 달고 시다.
폐, 심장, 신장으로 귀경한다.
효능
폐의 기운이 나가는 것을 거두어 들이고 신장의 기운을 돕는다. 진액을 만든다. 땀이 나지 않게 하고 설사를 멈추게 한다. 신장의 정기가 빠져 나가지 않게 하고 심신을 안정시킨다.
오래된 기침, 허증, 천식을 치료한다. 식은땀이 나거나 도한이 있을 때 좋다. 신장이 허약해 오는 허리 통증, 유정에 효과가 있다. 진액이 말라 입이 마르고 갈증이 있을 때 좋다. 가슴이 두근거리고 잠이 오지 않으며 꿈이 많른 증상에 효과가 있다.
주의 & 부작용
감기가 있을 때나 실열*이 있을 때, 기침초기, 두드러기 초기증상에는 피하는게 좋다.
*실열(實熱) : 사기(邪氣)가 성할 때 나타나는 열을 말한다. 허열(虛熱)에 상대되는 말이다.
몸에 침범한 외감사기(外感邪氣)가 속으로 들어가면서 열로 변하여 일으키는 병리적 현상을 이르는 말. 열이 몹시 심하고 번갈증(煩渴症)이 나서 찬물을 많이 마시려 하고 변비가 있으며 때로 배가 아파서 배에 손을 대지 못하게 하며 소변은 벌겋거나 누렇고 누런 설태가 껴서 말라 있으며 삭(數)하고 실(實)한 맥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열사(熱邪)를 없애는 방법으로 백호탕(白虎湯)이나 대승기탕(大承氣湯)을 쓴다.
요리 & 응용
오수유와 배합하면 신장, 비장이 차서 생기는 설사를 멈추게 한다.
천문동과 배합하면 불면증에 좋다.
구기자와 함께 먹으면 여름철 식욕이 없고 몸이 마르는 증상에 좋다.
• 생맥산 : 오미자, 인삼, 맥문동을 가루로 먹는다. 열로 기와 음이 상해 땀이 나고 갈증, 기침이 있을 때 좋다.
• 오미자탕 : 모이자, 자소엽, 인삼, 설탕으로 탕을 끓여 먹으면 진액을 만들어 갈증에 좋고 정액을 만든다.
• 오미자계란찜 : 계란과 오미자로 찜을 해 먹으면 설사를 멈추게 한다.
• 오미자 소경 인삼 호도탕 : 오미자, 소경, 인삼, 호도로 탕을 끓인다. 폐를 튼튼하게 하여 기침을 멈추게 한다.
• 옥액탕 : 산약, 생활기, 지모, 생계내금, 갈근, 오미자. 천화분으로 탕을 끓여 마시면 당뇨에 도움이 된다.
기타
고서문헌에 오미자는 남자의 정액에 유익하다. 눈을 밝게 한다 하였다.
오미자는 다섯 가지 맛을 다 가지고 있어 오미자라고 한다. 현대의학연구에 오미자는 중추신경계통을 활발하게 하는 작용이 있고 심장을 강하게 만든다.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며 면역력을 증강시킨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