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의 성질은 평하고 맛은 달다.
폐, 비장, 대장으로 귀경한다.
효능
중초에 영양을 공급하고 기를 돋운다. 건조함을 윤택하게 하고 통증을 완화시킨다. 해독작용을 한다. 심근을 보하고 간장을 보호한다. 혈압을 낮추며 동맥경화를 예방한다.
폐가 건조해 마른기침을 하는 증상에 효과가 있다. 변비에 좋다. 노인이나 산모가 병을 앓은 후 기력이 부족해 생기는 변비에 효과가 있다. 위, 십이지장궤양, 고혈압, 비만, 심장병, 간장병, 신경쇠약, 불면증에 좋다. 어린이 성장발육에 좋은 음식이다.
주의 & 부작용
당뇨, 대변이 묽은 사람, 구토, 만성피부습진 환자는 먹지 말 것.
파, 마늘, 상추, 교백, 부추, 젓갈류는 꿀과 배합하면 복통, 설사를 일으킬 수 있다.
두부와 꿀은 소화를 방해한다.
토복령, 위령선과 함께 쓰면 효능이 저하된다.
요리 & 응용
산약과 함께 먹으면 정신이 맑아지고 기운이 난다.
우유와 배합하면 열을 내리고 인후를 윤택하게 한다.
아교, 상엽, 패모와 함께 먹으면 폐를 윤택하게 하여 기침을 멈추게 하는 작용이 강해진다.
꿀은 섭씨 65도 이하 물에 타 먹어야 영양분이 파괴되지 않는다.
백작, 감초화 함께 쓰면 비기허약에 좋다.
오두(烏頭)의 독을 제거한다.
• 꿀차 : 청혈해독하며 윤조*한다. 고혈압, 궤양, 변비에 좋다.
• 꿀백합 : 백합과 꿀을 쪄 먹는다. 심폐를 건강하게 하여 기침을 없애고 음의 허함으로 열이 나는 폐결핵에 좋다. 신경쇠약과 심음 부족으로 생기는 불면증에 효과가 있다.
• 꿀 감초 진피탕 : 감초와 진피를 끓여 즙을 내어 꿀을 타 마시면 위궤양에 좋다.
• 꿀무숙 : 무의 중심을 파 내고 꿀을 넣어 쪄 아침저녁으로 먹으면 만성기관지염에 좋고 기침을 멈추게 한다.
• 금은화꿀차 : 금은화를 우려낸 물에 꿇을 타 먹으면 노인 변비에 좋다.
* 윤조(潤燥)
- 치료법의 하나. 음정(陰精)을 강화하고 자양 하며 진액을 생겨나게 하는 약으로 음허(陰虛)나 진액이 부족한 것을 치료하는 방법을 말한다. 윤조에는 경선윤조(輕宣潤燥) · 감한자윤(甘寒滋潤) · 감한생진(甘寒生津) · 청장윤조(淸腸潤燥) · 양음윤조(養陰潤燥) · 양혈윤조(養血潤燥) 등이 있다.
- 마른 것을 촉촉하게 한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기타
현대의학연구에 꿀은 설탕과 달리 살을 찌게 하지 않고 이를 상하게 하지 않는다 한다. 이는 꿀이 체내지방이 축적되는 걸 방지하기 때문이다. 꿀을 자주 꾸준히 먹으면 신장결석, 담결석을 예방하며 노화를 방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