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물

쌀 효능

혜공 2022

쌀의 성질은 평하고 맛은 달다.
비장, 위로 귀경한다.

효능

중초를 보하고 기운을 만들며 비장을 튼튼하게 한다. 위를 편하게 한다. 이질, 설서를 멈추게 한다.

체력이 허약하거나 비위가 약하여 소화가 잘 안되고 권태감과 답답증이 있을 때 좋다.

소화기가 약한 노인이나 어린이 또는 병을 오래 앓고 있는 환자, 산모에게 아주 유익하다.

 

- 중초(中焦) : 삼초(三焦)의 하나. 삼초의 중부를 말한다. 횡격막[또는 위(胃)의 분문(噴門)]에서 배꼽 부위[또는 위(胃)의 유문(幽門)]까지의 윗배에 해당한다. 중초에는 비위(脾胃)가 속해 있기 때문에 중초의 주요 기능은 비(脾) · 위(胃)의 기능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즉 비위(脾胃)가 음식물을 소화시키고 정미로운 물질을 흡수하여 온 몸을 영양하는 기능을 도와 준다. 그러므로 중초의 기능이 장애되면 소화 장애와 영양 장애 등 비위의 기능이 장애된 증상들이 나타난다.

주의 & 부작용

창이자와 같이 먹으면 가슴에 통증이 생길 수 있다.

말고기와 같이 먹으면 고질병이 발병한다.

쌀을 죽으로 만들 때는 소금을 넣으면 안 된다. 쌀 속에 들어있는 비타민B족과 비타민C가 파괴된다.

당뇨환자는 쌀로 만든 음식을 많이 먹으면 혈당을 높이기 때문에 좋지 않으며 건조종합증이나 갱년기종합증 등 음이 약하여 허열이 있는 사람들은 볶아서 많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덜 익은 밥은 먹으면 가슴에 화가 쌓인다.

진 밥은 영양 손실이 많다. 밥물은 인삼탕을 대용한다. 라는 말이 있는데 밥물에 영양성분이 많이 들어 있으며 쪄서 먹으면 쌀 표면에 있는 영양성분이 없어진다.

오래 보관된 쌀은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요리 & 응용

• 녹두죽 : 녹두와 같이 죽을 만들어 먹으면 더위 먹은데 좋다.

• 백합밥 : 가을에 백합과 함께 밥을 지어먹으면 비장을 튼튼하게 하고 폐를 윤택하게 한다.

• 산약밥 : 산약과 함께 밥을 지어먹으면 노인성변비에 효과가 있다.

• 인삼죽 : 병후회복이나 기운이 없고 식욕이 없을 때 효과가 있다.

• 죽여탕 : 죽여를 생강에 볶아 끓여 약물을 만든 다음 팬에 쌀을 노랗게 볶아 약물을 넣고 믹서에 갈아 조금씩 마신다. 토사곽란이 있을 때 먹으면 효과가 있다.

 

- 토사곽란(吐瀉癨亂) : 토하고 설사하여 배가 심하게 아픈 증상.

기타

고서문헌에 쌀은 살을 찌게하고 근곤을 튼튼하게 한다. 혈맥을 통하게 하여 오장을 편하게 한다. 신장의 정기를 만들어 귀와 눈을 밝게 한다 하였다.

 

현대의학연구에 의하면 쌀눈은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