찹쌀의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달다.
비장, 위, 폐로 귀경한다.
효능
중초를 보호하고 기운을 만든다. 비장을 튼튼하게 하고 설사를 멈추게 한다. 소변을 축적시키고 땀을 수렴한다. 해독한다.
비장과 위가 허약하여 설사를 자주 하거나 토사곽란 할 때 좋다. 자한, 도한, 다한증에 좋다. 혈이 허약하여 어지럽거나 신경쇠약, 폐결핵에 효과가 있다. 두창이나 치질에 좋다.
- 자한(自汗) : 한증(汗證)의 하나. 깨어 있을 때 몸에 부담을 줌이 없이 저절로 나는 땀을 말한다. 주로 폐기(肺氣)가 허약하고 위양(衛陽)이 튼튼하지 못하여 생긴다. 그밖에 혈허(血虛), 담(痰)이 몰리거나 습사(濕邪)에 상하여서도 생긴다. 땀내는 약을 먹지 않았는데 늘 축축하게 땀이 나며 조금만 움직여도 심해진다. 일반 치료 원칙은 원인에 따라 기허(氣虛)이면 익기고표(益氣固表)하고 양허(陽虛)이면 온양고표(溫陽固表)하는 것을 위주로 하면서 땀을 멎게 하는 방법을 배합하여 쓰는 것이다. 원인에 따라 기허자한(氣虛自汗) · 양허자한(陽虛自汗) · 혈허자한(血虛自汗) · 상습자한(傷濕自汗) 등으로 나누기도 한다.
- 도한(盜汗) : 달리 침한(寢汗)이라고도 일컬음. 한증(汗證)의 하나. 잠잘 때에는 땀이 나다가 잠에서 깨어나면 곧 땀이 멎는 것을 말한다. 잠잘 때 나는 땀이라 하여 침한이라고도 한다. 만성병이나 심한 출혈, 열성 질병으로 음혈(陰血)이 부족해서 생긴다. 그 밖에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비습(脾濕)이 성하거나 간열(肝熱)에 의해서도 생긴다고 하였다. 음정(陰精)과 혈액을 강화하고 자양하면서 허열(虛熱)을 없애는 방법으로 치료한다. 원인과 증상에 따라 음허도한(陰虛盜汗) · 혈허도한(血虛盜汗)으로 나눈다.
주의 & 부작용
찹쌀떡은 소화가 잘 안된다.
몸에 습열이 많아 노란 가래가 나오는 열성체질에 좋지 않다.
감기로 열이 나거나 기침이 있을 때 좋지 않다.
만성습진, 당뇨환자에게 좋지 않다.
요리 & 응용
• 미숫가루 : 찹쌀과 밀기울을 볶아서 갈아 쌀 밥물이나 돼지고기와 함께 먹으면 식은땀을 멈추게 한다.
• 찹쌀잡곡가루 : 찹쌀, 산약, 감식, 연자육, 후추, 설탕, 찹쌀을 물에 불려 하루 밤을 지낸 다음 건져서 볶아 가루를 내고 나머지 재료를 갈아 섞어 매일 아침 물에 타서 먹는다. 비장이 허약으로 인한 만성설사, 음식을 잘 먹지 못할 때 좋다.
• 순대 : 돼지창자에 찹쌀을 넣어 쪄먹으면 허약체질에 좋다.
기타
고서문헌에 찹쌀은 속을 따듯하게 하고 많이 먹으면 열이 내고 변이 딱딱해진다. 요실금을 멈추게 한다. 천연두에 찹쌀을 쓰면 해독하고 발진을 안정시킨다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