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초의 성질은 평하고 맛은 달다.
심장, 폐, 비장, 위로 귀경한다.
효능
비장을 튼튼하게 하고 기운을 내게한다. 폐를 윤택하게 하여 기침을 멈추게 하고 천식에 좋다. 청열해독한다. 여러 약재를 조화롭게 하는 작용이 있다.
비장와 위가 허약해 식욕이 없을 때 좋다. 위궤양, 십이지장궤양에 좋다. 심장의 기가 약해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 신경쇠약에 좋다. 감초의 단맛은 급함을 완화시켜 통증을 가라앉힌다. 열독창양, 인후종통, 약식중독에 좋고 부자나 대황 등의 약독을 약화시킨다.
주의 & 부작용
톳, 연어, 복어, 감수, 대극, 원화와 맞지 않으니 같이 쓰면 좋지 않다.
몸에 습이 차 배가 창만하거나 구토증상이 있을 때는 먹지 않는다.
장기간 먹으면 부종, 사지 무력증, 경련, 마비감, 두통이 온다.
요리 & 응용
• 감초 양고기탕 : 감초, 작약, 통초, 양고기로 탕을 끓여 먹으면 장이 허약해 생기는 여러병에 좋고 산후중풍에 효과가 있다.
• 감초탕 : 감초, 생강, 검은콩을 끓여 공복에 먹으면 이질, 복통에 좋다.
• 감맥대조죽 : 소맥, 대추, 감초로 죽을 만들어 먹으면 불면증에 좋고 정신을 건강하게 한다.
• 감초소맥탕 : 감초, 소맥, 대추, 돼지고기로 탕을 만들어 먹으면 신경쇠약, 불면증, 도한(잠잘 때 땀이 나다 깨면 땀이 멎는 증상)에 좋다.
• 감초삼두음 : 녹두, 팥, 검정콩, 생감초를 물에 불려 끓여 먹으면 수두에 좋다.
기타
감초는 생감초와 구감초가 있는데 생감초는 해독작용이 강하고 구감초는 허약함을 보하는 효능이 강하다.
현대의학연구에 감초는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전염성간염, 에디슨병, 뇨붕증, 기관지효천, 혈소판감소증, 선청성근강직증, 혈전성정맥염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