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물

검정쌀 효능

혜공 2022

검정쌀의 성질은 평하고 맛은 달다.
신장, 비장, 간으로 귀경한다.

효능

자음하며 신장을 보한다. 기운을 만들며 신체를 튼튼하게 한다. 눈을 밝게 한다. 활혈한다.

머리가 어지럽고 빈혈이 있을 때 좋다. 머리카락이 하얗게 변할 때 좋다. 시력이 떨어질 때 효과가 있다. 신장이 허약해 허리가 아프고 다리에 힘이 없을 때 좋다. 섬유질이 많고 소화속도가 느려 혈당을 빨리 울리지 않으므로 당뇨에 좋다. 칼륨과 마그네슘이 풍부해 고혈압, 심혈관질환에 좋다.

 

자음(滋陰) / 보음(補陰) : 달리 익음(益陰) · 양음(養陰) · 육음(育陰)이라고도 부름. 보법(補法)의 하나를 말한다. 음정(陰精)이 부족한 것을 강화하고 자양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심음(心陰)이 부족하여 가슴이 두근거리고 건망증이 있으며 잠을 잘 이루지 못하면서 꿈이 많은 등 증상이 나타날 때는 심음을 강화하고 자양하는 보심단(補心丹)을 쓰고, 간음(肝陰)이 부족하여 머리가 어지럽고 아프며 귀에서 소리가 나고 피부의 감각이 둔하며 손발이 떨리고 야맹증이 있을 때에는 간음을 강화하고 자양하는 기국지황환(杞菊地黃丸)을 쓰며, 폐음(肺陰)이 부족하여 기침하다가 사레가 들리고 걸쭉하면서 피가 섞인 가래가 나오고 오후에 미열이 나며 식은땀이 나고 불안해 하며 잠을 이루지 못하고 목이 마르며 목이 쉬는 등 증상이 나타날 때는 폐음을 자양하는 백합고금탕(百合固金湯)을 쓰고, 신음(腎陰)이 부족하여 허리와 다리가 저리고 아프면서 힘이 없고 유정(遺精), 현기증, 이명(tinnitus), 건망증, 불면증 등 증상이 나타날 때는 신음을 강화하고 자양하는 좌귀음(左歸飮)이나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을 쓰는 것 등이다.

주의 & 부작용

검정쌀은 껍질이 단단하고 삶아도 소화가 힘들어 위산에도 쉽게 소화되지 않아 장염, 만성위염, 소화불량이 있을 때는 좋지 않다.

요리 & 응용

• 검정쌀죽 : 검정쌀, 팥, 연자, 땅콩, 계화로 죽을 쑤어 먹으면 간과 신장이 강해지고 머리카락에 윤기가 돈다.

• 산약 흑미 저위탕 : 돼지 위를 뜨거운 물에 데치고 속에 산약과 흑미를 넣어 두시간정도 끓인 다음 양념하여 먹으면 신장이 튼튼해진다.

기타

흑미는 광이 나는 것이 좋고 물에 불리면 자색빛이 되는 것이 좋다. 만약 물색이 검정색으로 먹물처럼 보이면 물감을 들인 것으로 가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