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가피의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맵고 쓰며 약간 달다.
간, 신장으로 귀경한다.
효능
풍과 습을 제거한다. 간과 신장을 튼튼하게 한다. 근골을 튼튼하게 한다. 혈맥을 활발하게 한다. 리수작용(水를 빼는 효능)을 한다.
간과, 신장이 허약해 허리가 아프고 다리에 힘이 없을 때 좋다. 발뒤꿈치 통증을 완화한다. 풍습성관절염에 좋고 근육 수축이나 힘 없이 풀어지는 증상에 좋다. 발육이 늦어 걷기 힘들어하는 어린이에게 효과가 있다.
주의 & 부작용
음허화왕*이 있는 사람이 먹으면 좋지 않다.
*음허화왕(陰虛火旺) : 음정(陰精)이 부족해져서 허화(虛火)가 왕성해진 것. 증상은 번조증(煩躁症)이 나고 화를 잘 내며 볼이 붉어지고 입이 마르며 목이 아프고 성욕이 더욱 강해진다.
요리 & 응용
복령피, 대복피, 생강피, 지골피와 배합하면 수종에 효과가 있다.
• 오가피죽 : 오가피 가루, 쌀로 죽을 만들어 먹으면 걸음마가 늦은 어린이에게 좋다.
• 오가피주 : 오가피를 잘게 썰어 술에 담가 10일 후에 먹는다. 풍습병이나 사지에 힘이 없을 때 좋다.
• 오가피차 : 오가피를 끓여 먹는다. 풍습관절염에 좋다.
• 오가피닭죽 : 오가피, 목과, 우슬, 영계, 돼지척추뼈로 죽을 만들어 먹으면 오가피죽과 비슷한 효과를 낸다.
기타
고서문헌에 의하면 오가피는 남성의 낭에 생긴 습진을 치료한다 하였다.
오가피는 남오가피와 북오가피가 있다. 북오가피는 심장을 튼튼하게 하는 작용이 있기는 하나 독이 있어 쓰면 좋지 않다. 주로 쓰는 남오가피는 강장작용이 강하고 병을 막고 몸을 정상화시키는 작용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