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일

여지(리치) 효능

혜공 2024

여지(리치)의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달고 시다.
간, 비장으로로 귀경한다.

효능

혈액을 보하고 비장을 튼튼하게 한다. 기운을 잘 통하게 한다. 부기를 가라앉힌다. 입 냄새를 제거한다. 피부미용에 좋다. 병을 앓은 후 체력 회복에 좋다. 진액을 만들어 갈증을 해소한다. 비장이 허약하여 설사, 구역질이 자주 하고 식욕이 없을 때 효과가 있다. 몸에 종기가 나고 외상 출혈에 효과가 있다.

주의 & 부작용

음허화왕* 체질에는 많이 먹으면 좋지 않고 당이 풍부해 당뇨에 좋지 않다.

 

*음허화왕(陰虛火旺) : 음정(陰精)이 부족해져서 허화(虛火)가 왕성해진 것. 증상은 번조증(煩躁症)이 나고 화를 잘 내며 볼이 붉어지고 입이 마르며 목이 아프고 성욕이 더욱 강해진다.

요리 & 응용

• 여지찜 : 말린 여지, 연자로 찜을 해 먹으면 체력 저하, 냉대하에 좋다.
• 여지 인삼주 : 여지, 인삼으로 술을 담가 먹으면 양기부족으로 인한 양위*에 좋다.
• 여지죽 : 말린 여지, 쌀로 죽을 만들어 먹으면 식욕이 좋아지고 소화불량에도 좋다. 설사에 효과가 있다.

• 여지산약연자죽 : 말린 여지, 산약, 연자, 쌀로 죽을 만들어 먹으면 비신양허*로 인한 결장염에 좋다.

• 여지귤핵회향죽 : 여지핵, 귤핵, 소회향, 쌀로 죽을 만들어 먹으면 기혈울체로 인한 불임증에 좋다.

 

*비신양허(脾腎陽虛) : 비(脾)와 신(腎)의 양기가 다 같이 허해진 증. 신양(腎陽)이 허하여 비양(脾陽)을 온양(溫養)하지 못하면 비양이 허해지고 반대로 비양이 허하여 음식물의 정기를 신(腎)에 넉넉하게 보내주지 못하면 신양이 허해진다. 일반적으로 추위를 잘 타고 손발이 차며 숨결이 밭고 말하기 싫어하며 권태감이 심하고 대변이 묽거나 새벽 설사를 하며 때로 팔다리가 붓고 심하면 배가 불러오르면서 그득해지고 혀가 허옇게 되면서 붓고 미끈미끈한 설태(舌苔)가 끼며 맥박 상태가 허대(虛大)하거나 세약(細弱)한 증상이 나타난다. 비(脾)와 신(腎)의 양기를 북돋우는 방법으로 부자이중환(附子理中丸)이나 사신환(四神丸) · 실비음(實脾飮) 등을 가감해서 쓴다.

 

*양위(兩衛) : 두 가지 위(衛)를 통틀어서 일컬음. 옛 의학서에 피부에 퍼져 있는 위기(衛氣)를 체표의 위(衛)라 하고 비(脾)가 주관하는 기육(肌肉)을 장부의 위(衛)라고 하는데 이 두 가지 위(衛)를 합해서 양위라 한다고 하였다. 일부 옛 의학서에는 양(陽)과 음(陰)을 순행시키는 위기를 양위라 하였다.

기타

고선문헌에 의하면 보폐, 영심, 화비, 개위, 위완한통, 기혈체통을 치료한다. 여지의 효능은 용안육과 비슷하다. 열혈에는 용안육이 좋고 혈한에는 여지가 좋다. 마른 여지는 맛이 짜고 신선한 것만 못하며 기질은 화평하고 보익하며 손해가 없다. 화를 돕거나 열을 내는 건 아니지만 생것이 좋다 하였다.

 

*보폐(補肺) : 폐기를 보익하는 것과 폐음을 보양하는 것.
*영심(寧心) : 마음의 불안 등을 가라앉히고 편안하게 하는 치료방법임.
*화비(和脾) : 비장(脾臟)의 기능을 정상으로 만드는 효능임
*개위(開胃) : 위의 소화기능을 돕고 식욕을 돋우는 방법.
*위완한통(胃脘寒痛) : 위가 차서 생기는 통증
*기혈체통(氣血滯痛) : 기와 혈이 막혀 아픈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