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패

잉어 효능

혜공 2022

잉어의 성질은 평하고 맛은 달다.
비장, 신장, 위, 담으로 귀경한다.   

효능

비장을 튼튼하게 하고 위를 편하게 한다. 리수(소변을 잘 나오게)작용을 한다. 기운을 아래로 내리고 수종을 없앤다. 모유를 잘 나오게 하고 태아를 건강하게 한다.

신장염수종, 간경화수종, 신장성수종, 영양불량수종, 각기병수종, 임신부종 등의 각종 수종, 부종에 좋다. 위통에 좋고 설사를 멈추게 한다. 기역으로 인한 기침에 좋고 태동불안, 산후 모유부족에 효과가 있다.

주의 & 부작용

감염성열병, 임파결핵, 효천(哮喘)*, 용종창상, 유행성질병, 암, 홍반성낭창, 혈전성폐색성맥관염, 우피선, 만성피부염, 습진 등의 숙질이 있으면 피하는 게 좋다.

사삼은 잉어의 영양가를 떨어뜨린다.

자소는 잉어 단백질과 화학반응을 일으켜 유해물질을 만든다.

맥문동과 잉어는 소화불량을 일으킨다.

천문동은 잉어의 단백질 효율을 떨어뜨린다.

잉어는 리수소종작용이 강한데 콩잎 그 효능을 막는다.

잉어와 사인은 같이 쓰지 않는다.

아욱, 개고기와 함께 먹으면 좋지 않다.

 

*효천(哮喘) : 효증(哮證)과 천증(喘證)이 합쳐 나타나는 병증. 흔히 폐기(肺氣)가 장애되거나 신(腎)의 납기(納氣) 작용의 장애로 생긴다. 효와 천은 서로 인과 관계를 가지고 생기는 수가 많으며 이들은 밀접히 연관되어 있으면서도 구별되는 점이 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 효증은 목구멍에서 가래가 막혀 가래 끓은 소리가 나면서 숨이 찬 것이고 천증은 주로 숨만 몹시 찬 것이라고 하였다. 효는 발작적인 숨가쁨과 가래 끓은 소리가 나는 것인데 대체로 갑자기 생기는 수가 많다. 천은 숨가쁨이 위주인데 숨결이 밭으며 입을 벌리고 어깨를 들먹거리며 몸이 흔들리고 때로 배까지 들썩거린다. 일반 치료 원칙은 발작 전이면 정기를 보해 주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이미 발작하였으면 원인을 없애는 데 기본을 둔다.
효증(哮證)이 발작할 때 늘 숨찬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좁은 의미에서 효증이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요리 & 응용

배추와 배합하면 부기를 빼는 효과가 강해지고 영양흡수도 좋아진다.

잉어와 동과는 소화를 돕고 다이어트에 좋다.

잉어에 두부를 넣으면 영양흡수에 좋고 골다공증을 예방한다.

잉어에 팥을 배합하면 태아에 좋으나 일반인에게는 탈수현상을 일으킨다.

잉어에 대추는 심장을 건강하게 하고 보혈하며 수종, 부종에 좋다.

식초를 배합하면 습을 제거하고 부기를 가라앉힌다. 맛이 좋아지며 이뇨, 수렴하고 임신수종에 효과가 있다.

• 잉어탕 : 잉어를 푹 고아 후추, 소금간하여 먹는다. 병후, 산후 회복에 좋다.

• 잉어 팥탕 : 잉어, 팥을 오래오래 끓여 즙을 짜 먹는다. 수종에 좋다.

• 잉어 목과탕 : 잉어, 목과로 탕을 만들어 먹는다. 모유부족에 좋다.

• 복령 밤 잉어탕 : 잉어, 밤, 복령, 간장, 대파, 마늘 등 각종 양염으로 졸인다. 청열리습 하고 비만에 좋다.

• 황기 잉어좋임 : 황기, 잉어, 당삼, 표고버섯, 간장, 대파, 마늘, 전분, 각종 조미료. 비장이 약하고 습이 쌓여 몸에 기운이 없을 때 좋다. 몸 중심에 기가 뭉쳐있는 사람에게 아주 좋다.

기타

고서문헌에 잉어를 구워 먹으면 반위(위암), 뱃속의 악풍을 없앤다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