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조인의 성질은 평하고 맛은 달다.
심장, 간으로 귀경한다.
효능
심장과 간을 튼튼하게 한다. 정신을 안정시킨다. 식은땀을 나지 않게 한다.
불면증, 가슴 두근거림, 무서움, 건만증, 꿈을 자주 꾸는 증상, 어지러움 등의 정신 불안정에 특효다. 심간음혈 부족으로 인한 모든 증상에 효과가 있다.
주의 & 부작용
평소 변이 묽은 사람이나 담이 있으면 피하는게 좋다.
부작용으로 피부 두드러기, 오한, 발열, 관절 시큰거림이 있을 수 있다.
요리 & 응용
생감초를 배합하여 자기전에 마시면 불면증에 좋다.
당귀, 백작, 용안육, 하수오와 함께 쓰면 심장의 혈을 보하는 효과가 강해진다.
오미자, 산수유, 황기와 배합하면 식은땀을 멈추게 한다.
• 산조인전병 : 산조인가루, 인삼가루, 복신가루, 찹쌀가루, 밀가루로 전병을 만들어 먹는다. 답답한 가슴, 불면증에 좋다.
• 산조인죽 : 산조인, 숙지, 쌀로 죽을 만들어 먹으면 불면증에 좋다.
• 저심탕 : 돼지심장, 복신, 산조인, 원지로 탕을 만들어 먹으면 정신을 안정시킨다.
기타
고서문헌에 산조인은 가슴과 복부의 한열*을 없애고 사기*결집과 사지산통*습비*를 치료한다. 장기간 복용하면 오장을 안정시키고 몸을 가볍게 한다. 근골을 튼튼하게 한다 하였다.
*한열(寒熱) : 오한, 발열 증상을 합해서 말함.
한증과 열증. 음양이 치우쳐 성하거나 약해져 생김. 양이 이기면 열이 나고, 음이 이기면 한(寒)이 생겨 음양성쇠(陰陽盛衰)가 구체적으로 나타남. 한(寒)과 열(熱)은 상대적(相對的)이고, 상호간(相互間)에 관련(關聯)한다. 때로는 진한가열(때로는眞寒假熱), 진열가한(眞熱假寒),혹은 한열착잡(寒熱錯雜)의 증상(症狀)을 나타낸다.
*사기(邪氣) : 풍(風) · 한(寒) · 서(暑) · 습(濕) · 조(燥) · 화(火)와 여기(癘氣) 등 병을 일으키는 요인을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외감병(外感病)을 일으키는 외인을 말한다. 외인(外因)이란 몸 밖으로부터 침입한 사기를 말하므로 외인을 외사(外邪)라고도 한다.
*사지산통(四肢痠痛) : 사지(四肢/팔다리)가 시큰거리고 통증이 있는 것.
*습비(濕痺) : 습기(濕氣)가 성(盛)하여 형성되는 병증. [금궤요략(金匱要略)] <경습갈병맥증병치(痙濕喝病脈證幷治)>에 나옴. 착비(着痺), 기비(肌痺)라고도 함. [증치준승(證治準繩)] <잡병(雜病)>에는 "습비(濕痺)는 그 비증(痺症)이 한 곳에 머물러 옮겨다니지 않고 땀이 많이 나고 사지가 완약(緩弱)하고 피부가 불인(不仁)하고 정신이 혼미해진다.(濕痺者, 留而不移, 汗多, 四肢緩弱, 皮膚不仁, 精神昏塞)"라고 하였다. [증인맥치(症因脈治)] 제3권에 "습비의 증상은 한 곳이 마비되어 무감각하거나, 팔다리를 들지 못하거나, 몸의 반쪽을 좌우로 틀지 못하거나, 습(濕)이 변하여 열(熱)이 되고 열이 변하여 조(燥)가 되어 당겨 뒤틀리고 아프며 오그라들어 펴기 어려운 것인데 이를 착비(着痺)라 한다. 이것이 습비의 증상이다. 습비의 원인은 낮고 축축한 곳에 거처하여 습기(濕氣)가 침입하였거나 바람을 쐬고 비를 맞아 습(濕)이 기육(肌肉)에 머무르다가 안으로 경맥(經脈)으로 전(傳)해졌거나, 비가 많이 내리고 축축한 해에 기거(起居)를 조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습비(濕痺)의 치료는 땀이 나면 강활제습탕(羌活除濕湯)을, 가슴이 그득하고 답답하면 복령탕(茯苓湯)을, 풍습(風濕)이 있으면 창방이묘탕(蒼防二妙湯)을, 한습(寒濕)이 있으면 출부탕(朮附湯)을, 습열(濕熱)이 있으면 창백이묘환(蒼柏二妙丸)을 쓴다.(濕痺之症, 或一處麻痺不仁, 或四肢手足不擧, 或半身不能轉側, 或濕變爲熱, 熱變爲燥, 收引拘攣作痛, 蜷縮難伸, 名曰着痺, 此濕痺之症也. 濕痺之因, 或身居卑濕, 濕氣襲人, 或衝風冒雨, 濕留肌肉, 內傳經脈, 或雨濕之年, 起居不愼. ……濕痺之治, 發汗, 羌活除濕湯; 胸滿悶, 茯苓湯; 風濕, 蒼柏二妙湯; 寒濕, 朮附湯; 濕熱, 蒼柏二妙丸.)"고 하였다.
각기병(脚氣病)의 일종. [수세보원(壽世保元)] 제5권에는 "각기(脚氣)는…… 또한 아프면서 무감각한 경우가 있는데 습비라 한다.(脚氣者……亦有疼痛不仁者, 名曰濕痺.)"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