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강의 성질은 따듯하고 맛은 맵다.
비장, 위, 폐로 귀경한다.
효능
찬 기운을 없애고 표증*을 치료한다. 구토를 멈추게 한다. 가래를 삭히소 기침을 멈추게 한다. 생선, 게, 버섯 독을 없앤다. 풍한감기로 인한 몸살을 치료한다. 찬 음식을 먹고 복통, 설사가 있을 때 효과가 있다. 생리통에 좋다. 멀미를 자주 하는 사람들은 출발하기 전에 먹으면 효과가 있다.
*표증(表證) : 육음(六淫)이나 역려(疫癘) 등 표에 외사(外邪)가 침입하여 생긴 병증을 통틀어서 일컬음. 일반적으로 몸의 정기(正氣)가 허약해졌을 때 외사가 표를 침입해서 생긴다. 표가 튼튼하고 정기가 왕성할 때는 표에 외사가 쉽게 침입할 수 없으며 만약 침입하여 병을 일으켜도 경하게 경과한다. 체질이 튼튼한가 약한가에 따라 그리고 사기의 성질에 따라 표증 증상은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데 가장 일반적인 증상은 오싹오싹 춥고 바람을 싫어하며 열이 나고 머리가 아프며 맥박 상태가 부(浮)한 것이다. 특히 오싹오싹 추우면서 열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해표법(解表法)으로 치료한다. 침입한 사기의 성질과 정기의 허실에 따라 표한증(表寒證) · 표열증(表熱證) · 표허증(表虛證) · 표실증(表實證) 등으로 나눈다.
주의 & 부작용
생강은 맵고 열을 냄으로 음허화왕인 사람은 좋지 않다.
갱년기종합증, 폐결핵으로 인한 도한, 저열에 좋지 않다. 당뇨병, 건조종합증, 각종 염증질환, 종기에 좋지 않다.
부패한 생강은 독성물질을 있어 간세포를 변형시켜 암세포로의 변형을 유도한다.
생강과 토끼고기는 성질이 반대라 복통설가를 일으킬 수 있다.
소고기와 생강을 같이 먹으면 상화가 생길 수 있으므로 평소 가슴에 화가 많으면 같이 먹지 않는게 좋다.
요리 & 응용
풍한 감기에는 대파 흰 부분과 배합하면 좋다.
양고기와 함께 먹으면 생리통에 좋고 위가 차가운데 좋다.
아이가 젖을 토할 때 우유과 생강을 같이 먹으면 좋다.
• 생강자소염차 : 생강, 자소엽을 끓여 차로 마시면 풍한감기에 좋다.
• 생강차 : 생강, 엿당으로 끓여 며시면 가래를 없애고 기침을 멈추게 한다.
• 생강 진피음 : 생강과 진피로 차를 끓여 먹으면 만성위염, 위통, 구토에 효과가있다.
• 생강 대추죽 : 생강, 대추, 쌀로 죽을 만들어 머긍면 비장과 위를 따뜻하게 하고 혈맥을 조절하며 풍한감기를 예방한다.
• 생강 추리탕 : 생강, 배를 끓여 먹으면 감기에 좋고 코막힘에 효과가 있다.
• 생강 총백무방 : 생강, 총백, 무를 끓여 먹으면 거담지해*한다.
*거담지해(去痰止咳) : 담을 없애고, 기침을 멈추게 함.
기타
고서문헌에 생강은 두통, 근육통, 심만(심장의 통증)을 치료하고 기운을 역행하는 것은 막고 답답한 증상을 치료하며 위기를 열어준다 하였다.
말린 생강은 생 것과 비슷한 효능을 가지고 있지만 생 것은 표면에 작용하고 말린 것은 안으로 들어간다.
현대의학 연구에 의하면 생강은 노화를 방지하는 효능이 있고 체내 유해산소를 제거한다. 담낭염, 담관염, 담결석을 예방하고 치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