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

겨자채(갓) 효능

혜공 2023

겨자채(갓)의 성질은 따뜻하고 맞은 맵다.
폐, 위, 신장으로 귀경한다.

효능

폐 선발기능*을 강화하여 담을 제거하고 중초를 따뜻하게 한다. 부기를 가라앉히고 뭉친 것을 풀어준다. 급만성기관지염으로 가래, 기침, 천식이 있을 때 효과가 있다. 가슴이 답답할 때 좋다. 폐옹, 폐농종에 좋다. 방광결석, 동상에 효과가 있다.

 

*선발기능 : 기(氣)나 진액을 펴서 잘 보내지도록 함을 일컫는 것.

주의 & 부작용

겨자는 발물 식품으로 많이 먹으면 풍을 일으킨다고 하였는데 바람이 많이 부는 봄에는 먹지 말며 피부병, 홍반성낭창, 임파결핵, 암, 갑상선종, 창양, 인질, 치질환자에게 좋지 않다.

배와 배합하면 구토를 유발할 수 있다.

요리 & 응용

돼지고기와 배합하면 여름철 잘 상하지 않는다.
• 겨자채죽 : 겨자채와 쌀로 죽을 만들어 먹으면 배가 차고 기침이 나오며 담이 많고 가슴이 답답하며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신장염이나 비뇨기 결석에 좋다.
• 겨자채 생강탕 : 생강과 함께 탕으로 먹으면 풍한으로 인한 두통, 코막힘, 기침, 손발이 시리고 아플 때 좋다.
• 겨자채 감초전 - 겨자채, 감초, 방풍, 백지로 우려낸 물을 끓여 먹으면 감기에 좋다.

기타

고서문헌에 겨자채는 신장의 사기를 제거하고 구교를 잘 통하게 하며 눈과 귀를 밝게 하고 중초를 안정시키며 오래 먹으면 중초가 따뜻해진다. 겨자는 약성이 맵고 따뜻하여 음습이 내성하여 모이거나 담기가 기운을 막을 때 먹는데 담이 없으면 제거할 것이 없고 기가 없으면 통하지 않으므로 귀와 눈을 밝게 한다 하였다.

겨자채의 부드러운 줄기와 잎을 절여서 만든 것을 설리홍이라고 한다. 겨자체를 소금에 절여 땅속에 묻어두어 먹으면 폐옹이나 농양을 치료하고 인후염이나 목이 쉰데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