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재

보골지 효능

혜공 2022

보골지의 성질은 뜨겁고 맛은 쓰며 맵다.
비장, 신장으로 귀경한다.

효능

신장에 양기를 만든다. 비장을 튼튼하게 한다. 소변을 축적하고 설사를 멈추게 한다.

비장과 신장의 양기가 허약해 하는 설사에 효과적이다. 신장이 허약해 오는 허리통증, 무릎통증, 양위, 유정, 빈뇨에 좋다. 신장의 납기*가 약해 생기는 천식에 좋고 백전풍*을 치료한다.

 

*납기(納氣) : 신(腎)의 기능의 하나. 들이쉰 숨을 받아들인다는 말이다. 옛 의학서에 폐(肺)는 숨을 내쉬는 것을 주관하고 신(腎)은 들이쉰 숨을 받아들이는 것을 주관한다고 했다.

 

*백전풍(白癜風) : 달리 백박(白駁) · 백박풍(白駁風) · 백전(白癜)이라고도 부름. 피부에 흰 반점, 즉 색소탈실반이 생기는 병증을 말한다. 간기(肝氣)가 정체되고 기혈이 부족하거나 풍습사(風濕邪)가 서로 결합하여 기혈이 조화되지 못하여 생긴다. 흰 반점은 임의의 부위에 각기 다른 모양과 크기로 나타난다. 경계는 뚜렷하며 보통 자각 증상이 없고 주위 피부색은 더 진해진다. 흰 반점 안에 있는 털도 점차 희어진다. 병은 보통 매우 완만하게 경과한다. 내치법으로는 양혈활혈(養血活血), 거풍(祛風)하거나 간신(肝腎)을 튼튼하게 하는 약들을 쓴다. 단방으로는 백지(白芷) · 독활(獨活) · 보골지(補骨脂) · 자질려(刺蒺藜) · 마치현(馬齒莧) 등을 달여 먹거나 팅크제, 산제를 쓴다. 외치법으로는 보골지팅크를 바르고 일광욕을 한다. 이 밖에 이침(耳鍼), 피부침 등 침치료법도 쓴다. 일반적으로 2~3개월 이상 체계적으로 치료하여야 한다.

주의 & 부작용

성질이 따뜻하고 건조하기 때문에 음을 상하게 하고 화를 돕는다. 대변이 건조한 사람에게 좋지 않다.

요리 & 응용

두충, 호두와 함께 쓰면 요통, 시린 무릎에 좋다.

육구두, 생강, 대추와 함께 쓰면 비장의 양기가 부족해 생기는 설사에 좋고 산수유, 오미자와 함께 쓰면 신장의 양기가 부족해 생기는 설사에 좋다.

• 보골지완 : 보골지를 술에 담아 찐 다음 갈고 호두는 껍질까지 모두 간다. 꿀에 두 가루를 넣어 완자로 만들어 먹는다. 양위, 유정, 조루, 빈뇨,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통증이 있을 때 좋다.

• 보골지 돼지갈비찜 : 보골지, 호두, 구척, 소회향을 갈아서 돼지갈비와 함께 쩌 먹는다. 허리 통증에 좋다.

• 보골지주 : 술에 보골지 가루를 타 먹으면 신장 허약으로 인한 요통에 효과가 있다.

기타

고서문헌에 보골지는 남성의 요통, 찬 무릎, 낭습과 여러가지 냉비*를 치료한다. 소변불리, 배가 찬 증상을 치료한다. 오로칠상*에 좋고 풍허*냉, 골수가 상한데 좋다. 부인의 혈과 기가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치료한다. 수장을 따뜻하게 하고 장화의토의 중요한 약재다.

 

*냉비(冷痺) : 한(寒)의 기운으로 인해 손발에 감각이 없고 저린 증상임

*오로칠상(五勞七傷) : 오로는 오장이 허약해서 생기는 허로(虛勞)를 5가지로 나눈 것으로, 심로(心勞), 폐로(肺勞), 간로(肝勞), 비로(脾勞), 신로(腎勞) 등이고, 칠상은 남자의 신기(腎氣)가 허약하여 생기는 음한(陰寒), 음위(陰痿), 이급(裏急), 정루(精漏), 정소(精少), 정청(精淸), 소변삭(小便數) 등 7가지 증상을 일컫는다.

*풍허(風虛) : 몸이 허해져서 생기는 풍증

*수장(水臟) : 신(腎)장을 말한다. 신은 오행에서 수(水)에 속하며 몸에서 수분 대사와 소변의 생성과 배설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는 뜻에서 붙인 이름이다.

*장화익토(壯火益土) : 화기(火氣)를 보충하여 상생(上生)작용으로 토기(土氣)의 영양을 유도하는 효능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