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물

수수 효능

혜공 2022

수수의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달며 떫다.
비장, 위, 폐로 귀경한다.

효능

비장의 기운을 보하고 소화를 돕는다. 위와 장을 수렴하여 설사를 멈추게 하다. 담을 없앤다. 정신을 안정시킨다.
담습이 많고 기침할 때 좋다. 잠이 오지 않고 꿈을 많이 꾸는 증상에 효과가 있다.

주의 & 부작용

성질이 따뜻해 당뇨환자에게 좋지 않다.

당나라 식회에 의하면 수수와 아욱을 동시에 섭취하면 안 된다.
따뜻한 성질과 떫은맛은 대변이 건조한 사람에게 맞지 않다.

요리 & 응용

 수수밥 : 수수, 쌀, 검은콩, 대추를 넣고 밥을 한다. 어린이 소화불량이나 복통설사에 좋고 위통, 구토에 좋다.
 수수튀밥 석류피탕 : 수수튀밥에 석류피를 넣고 끓여 먹으면 배가 차서 아프고 설사할 때 좋다.
 수수대추분 : 수수에 대추를 넣고 갈아 미숫가루로 만들어 설탕과 함께 먹으면 설사와 소화불량에 좋다.
 수수붕어탕 : 붕어에 수수를 넣어 탕으로 먹으면 이질에 효과적이다.
 수수죽 : 수수, 쌀, 진피 죽을 먹으면 차가워진 배를 따뜻하게 해 줘 몸에 열을 발생하게 한다.

기타

고전문헌에 수수는 중초를 따뜻하게 하고 장을 수축시켜 곽란을 멈추게 한다. 음양을 화합시키고 비위를 보하며 심장과 신장의 교류를 원활하게 한다. 위를 식히고 기운을 보충하며 비장을 키운다. 양성음허*로 잠을 자지 못하는 병을 치료한다.

수수는 서미, 직미로 나눈다. 서미는 황미라 부르고 직미는 고량이라고 한다. 점도가 있으면 서미, 점도가 없으면 직미라 하며 직미는 밥을 하고 서미는 고량주를 담근다 하였다. 서미는 폐의 곡식으로 폐병에 먹으면 좋고 직미는 비장의 곡식으로 비장에 병이 있을 때 먹으면 좋다 하였다.

 

*양성음허(陽盛陰虛) : 몸 안에 양(陽)이 성하고 음(陰)이 허한 것. 양성음허하면 얼굴이 벌겋고 더운 것을 싫어한다. 맥상(脈象)에서 세게 누르면 맥이 허(虛)하고 소(小)하며 가볍게 누르면 대(大)하고 실(實)하다.
맥상에서 표실이허맥(表實裏虛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