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출의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달며 쓰다.
비장, 위로 귀경한다.
효능
비장을 튼튼하게 한다. 기운을 내게 한다. 습을 제거한다. 이뇨작용이 있다. 식은땀을 제거한다. 태아가 정상적으로 자라도록 한다.(안태安胎)
비장과 위장이 허약해 먹지 못하고 몸이 축 처지는 증상, 무기력증, 만성설사, 소화가 안될 때 좋다. 기가 허하여 수종이 있고 폐의 기가 허해 기침을 하며 숨이 가쁘며 식은땀이나 잘 때 땀(도한)을 흘리는 증상에 좋다. 침을 많이 흘리는 어린이에게 효과가 있다.
주의 & 부작용
백출의 따뜻한 성질로 평소 몸이 건조하고 진액이 부족하고 갈증이 있을 때는 좋지 않다. 기체 하여 배가 불렀을 때는 좋지 않다.
요리 & 응용
만삼과 함께 쓰면 비장을 튼튼하게 하는 효능이 강해진다.
황기와 부소맥을 함께 써 식은땀을 멈추게 한다.
• 백출 호박죽 : 백출로 끓여 약물을 만들고 단호박을 넣어 죽으로 만들어 먹으면 비장을 튼튼하게 하고 습을 제거하며 태아를 안정시킨다.
• 백출병 : 백출은 갈아서 볶고 대추는 씨를 제거하여 잘게 썰어 밀가루와 반죽하여 구워 먹는다. 위암으로 변이 묽을 때 좋다.
• 백출고 : 백출을 끓여 즙을 내고 설탕을 넣어 다시 끓여 고로 만들어 먹는다. 어린이 만성설사에 도움이 된다.
기타
현대의학연구에 백출은 강장작용을 하며 장과 위의 기능을 조절하며 소화흡수를 강하게 한다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