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재

우슬 효능

혜공 2022

우슬의 성질은 평하고 맛은 쓰고 시며 달다.
간, 신장으로 귀경한다.

효능

간과 신장, 근골을 튼튼하게 한다. 혈을 아래로 보낸다. 활혈통경*하고 이수통임(소변을 잘 보게 하고 물을 통하게)한다.

어혈이 막혀 생리가 부족하거나 생리통이 심할 때 좋다. 산후 복통에 도움이 된다. 타박상으로 멍이 들었을 때 좋다. 허리와 무릎관절이 아프고 힘이 없을 때 좋고 소변불리, 수종에도 좋다.

 

• 활혈통경(活血通經) : 이혈법(理血法)*의 하나. 활혈약(活血藥)으로 경폐증(經閉症)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경폐증의 원인에 따라 치료를 달리하는 데 기허(氣虛)로 생긴 경폐증 때에는 보기약(補氣藥)을 위주로 쓰고 혈허(血虛)로 생긴 경폐증 때에는 보혈약(補血藥)을 위주로 쓰면서 활혈약인 단삼(丹參) · 홍화(紅花) · 도인(桃仁) · 천궁(川芎) · 당귀(當歸) · 우슬(牛膝) 등을 같이 쓴다.

   ↪ 이혈법(理血法) : 치료법의 하나. 혈분의 병 또는 혈병을 치료하는 방법. 이혈에는 보혈(補血), 양혈(養血), 온혈(溫血), 거어활혈(去瘀活血), 지혈(止血) 등 5가지가 포함됨.

주의 & 부작용

혈을 움직여 아래로 내리는 약재로 생리 양이 많을 때는 쓰면 좋지 않고 임산부에게도 좋지 않다. 비장이 허해 설사를 하는 사람, 꿈을 자주 꾸고 유정이 있는 사람에게도 좋지 않다. 중기하함*, 하원불고* 증상에 좋지 않다.

 

*중기하함(中氣下陷) : 달리 비기하함(脾氣下陷) · 기허하함(氣虛下陷)이라고도 부름. 비기(脾氣)가 허해서 장부들이 아래로 처지는 병증. 음식 조절을 잘못했거나 육체적 과로, 그 밖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비(脾)를 상하면 비기가 허해져서 끌어올리는 기능이 장애되어 생긴다. 얼굴에 핏기가 없고 권태감이 심하여 어지럽고 땀이 잘 나며 숨결이 밭고 음식을 적게 먹으며 설사를 자주 한다. 배는 아래로 처져 내려가는 감이 있고 때로는 탈항이 되거나 소변이 방울방울 떨어지며 설질(舌質)은 희읍스름하고 설태(舌苔)는 얇으며 희다. 비를 튼튼하게 하면서 비기를 끌어올리는 방법으로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을 가감하여 쓴다. 또는 침뜸치료를 배합할 수 있다.

*하원불고(下元不固) : 신기불고(腎氣不固)의 다른 이름.
신기불고(腎氣不固) : 달리 하원불고(下元不固)라고도 일컬음. 신기(腎氣)가 튼튼하지 못한 것. 신기가 허약해져서 정(精)을 간직하고 소변을 통솔하는 기능이 장애된 것을 말한다. 신기불고되면 유정(遺精), 활정(滑精), 조루, 유뇨증, 야뇨증 등 병증이 생긴다. 신기를 보하고 고삽(固澀)하는 방법으로 치료하는 데 병증상에 따라 금쇄고정환(金鎖固精丸)이나 축천환(縮泉丸) 등을 쓴다.

요리 & 응용

어혈을 풀 때는 당귀, 도인, 홍화와 함께 쓴다.

당귀, 구맥, 동계자와 함께 쓰면 태반이 잘 나오지 않을 때 효과가 있다.

두충, 속단, 보골지와 함께 쓰면 허리, 무릎이 아프고 힘이 없을 때 좋다.

생지황, 택사, 차전자와 함께 쓰면 소변불리, 수종에 효과가 있다.

• 우슬경엽죽 : 우술경엽과 쌀로 죽을 만들어 먹으면 풍습관절염에 좋다. 허리와 무릎이 아플 때 좋다.

• 우슬 강압탕 : 우슬, 해파리, 홍합, 마늘, 생강, 대파로 탕을 끓여 먹으면 고혈압에 좋다.

• 노루족발 : 노루족에 우슬, 대파, 후주를 넣고 삶아 먹으면 근골이 튼튼해지고 사지가 굳거나 힘이 없을 때 좋다.

기타

현대 약리작용에 우슬은 자궁수축작용이 있고 혈압을 내리며 지통 작용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