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물

조 효능

혜공 2022

조의 성질은 시원하고 맛은 달고 짜다.
비장, 위, 신장으로 귀경한다.

효능

중초를 편하게 한다. 신장, 비장, 위를 튼튼한다. 열을 내리고 해독한다. 갈증을 풀어준다.
비장과 위에 열이 있어 소화흡수가 되지 않고 구토 증상, 더부룩함, 설사가 있을 때 도움이 된다. 신장이 허약하여 생기는 소갈증에 좋다. 당뇨에 좋다. 이질에 도움이 되고 소변을 잘 통하게 한다.

주의 & 부작용

조는 성질이 차서 평소 위가 찬 사람에게는 좋지 않다.

조와 행인을 함께 먹으면 설사, 구토한다.

요리 & 응용

• 조죽 : 비장과 위에 허열이 있거나 구토 증상이 있을 때 효과가 있다. 신장의 기운이 부족하거나 요도감염에도 좋다.
설탕 조죽 : 조죽에 설탕을 넣어 먹으면 체질이 허약하거나 산후에 몸이 허약해 권태감, 식욕부진, 갈증, 구통, 젖이 잘 나오지 않을 때 좋다.
 계란 조죽 : 심혈이 부족하여 가슴이 답답하고 번열이 나며 초조하고 잠이 오지 않을 때 좋다.
 조 인삼죽 : 인삼, 조, 산약, 돼지고기, 대추를 넣은 죽을 만들어 먹으면 원기 부족, 정신 피로, 얼굴이 노래지고 몸이 마르며 식은땀, 설사 증상에 도움이 된다.
 조 용안죽 : 조, 용안육으로 죽을 만들어 먹으면 심장과 비장이 약해 무서움증, 건망증, 불면증과 정신 안정에 도움이 된다.
 조밥 : 조, 쌀, 밤, 콩으로 밥을 지어먹으면 신장과 비장이 허약, 식욕부진, 기운이 없을 때 좋다.

 

허열(虛熱) : 허해서 나는 열. 음(陰) · 양(陽) · 기(氣) · 혈(血)이 부족해져서 나는 열을 말한다. 실열(實熱)에 상대되는 열이다. 허열은 많은 경우 음이나 혈이 허하여 생기는 데 양이나 기가 허해서 생기는 때도 있다. 허열이 날 때는 반드시 해당 허증(虛證) 증상들이 겸해서 나타난다. 그러므로 기허(氣虛) · 혈허(血虛) · 음허(陰虛) · 양허(陽虛) 등 어느 허증으로 생긴 허열인가를 가려서 치료한다.

기타

동양의학의 소갈병은 현대의 당뇨병과 흡사한 병으로 오래 앓게 되면 신장이 허약해지는데 조는 음을 보충하고 허열을 내리며 신장을 보하는 작용이 있어 쌀 대용으로 먹으면 당뇨에 좋다. 산모나 체력이 약해진 환자에게 좋고 어린이 성장발육에 도움이 되는 음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