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물

흑깨 효능

혜공 2022

흑깨의 성질은 평하고 달다.
간, 비장, 신장으로 귀경한다.

효능

간, 신장, 정혈을 보한다. 장을 윤택하게 하여 변을 잘 보게 한다.
간과 신장의 기능 저하로 이명, 어지럼증, 허리와 무릎에 힘이 없고 머리가 빨리 하얗게 변하는 증상에 좋다. 피부건조증에 도움이 된다. 장의 수분 부족하여 변비가 있을 때 좋다. 산모의 모유가 적을 때 좋다. 노인성 천식, 폐결핵, 성인병에 도움이 된다. 혈소판 감소로 인한 자반(상처의 흔적)에 좋고 말초신경마비, 피부 두드러기에도 효과가 있다.

주의 & 부작용

만성장염, 복통설사가 있을 때는 좋지 않다. 남성 양위*, 유정*이나 여성 냉대하에 좋지 않다.

*양위(兩衛) : 두 가지 위(衛)를 통틀어서 일컬음. 옛 의학서에 피부에 퍼져 있는 위기(衛氣)를 체표의 위(衛)라 하고 비(脾)가 주관하는 기육(肌肉)을 장부의 위(衛)라고 하는데 이 두 가지 위(衛)를 합해서 양위라 한다고 하였다. 일부 옛 의학서에는 양(陽)과 음(陰)을 순행시키는 위기를 양위라 하였다.

*유정(遺精) : 정액이 저절로 나오는 병증. 칠정내상(七情內傷)으로 심화(心火)가 성하거나 여러 가지 질병으로 기혈이 허하거나 신음(腎陰) · 신양(腎陽)이 부족했을 때, 하초(下焦)에 습열사(濕熱邪) 등이 몰려서 생긴다. 유설(遺泄)이라고도 한다. 심화가 성할 때는 몽설(夢泄)이 있으며 어지럽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온 몸이 노곤하고 정신이 흐리멍덩하며 소변이 적고 누르며 설질(舌質)은 붉다.
심화를 제거하면서 정신을 진정시키는 방법으로 삼재봉수단(三才封髓丹)을 쓴다. 신음이 부족할 때는 유정과 함께 어지럽고 이명(耳鳴)이 있으며 허리에 힘이 없거나 아프며 때로 오싹오싹 추우면서 뼛속이 달아오르는 감과 미열이 있다. 신음을 강화하고 자양하여 허화(虛火)를 제거하고 삽정(澀精)하는 방법으로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에 검실(芡實) · 오미자(五味子) · 금앵자(金櫻子) · 진피(陳皮) 등을 더 넣어 쓴다. 신양(腎陽)이 부족할 때는 유정과 함께 얼굴에 핏기가 없고 우울하며 허리와 손발이 싸늘하고 저절로 땀이 난다. 신양을 북돋우면서 삽정하는 방법으로 녹용대보탕(鹿茸大補湯) · 녹각산(鹿角散)을 쓴다. 습열사가 성할 때는 유정과 함께 몸이 무거우며 입이 쓰고 목이 마르며 소변이 붉다.
습열사를 없애는 방법으로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치자(梔子) · 황백(黃柏) · 지모(知母) · 반하(半夏) · 적복령(赤茯苓) · 진피(陳皮) · 백출(白朮) · 생강(生薑) · 길경(桔梗) · 승마(升麻) · 시호(柴胡) · 석창포(石菖蒲)] · 저두환 (豬肚丸)에 차전자(車前子) · 택사(澤瀉) 등을 더 넣어 쓴다. 유정은 크게 몽설(夢泄) · 누정(漏精 · 滑精)으로 나누거나 원인에 따라 습열유정(濕熱遺精) · 울열유정(鬱熱遺精) · 양허유정(陽虛遺精) · 담옹유정(痰壅遺精) · 간열유정(肝熱遺精) 등으로 나눈다.
경외기혈(經外奇穴). 배꼽 중심에서 아래로 3치 내려가 다시 양 옆으로 각각 1치 나가 있다. 유정(遺精), 조루(早漏), 음위(陰痿), 음낭 습진에 쓰는데 침은 8푼~1치 깊이로 놓는다.

요리 & 응용

체력이 약한 노인과 오장이 허약할 때는 쌀을 배합하여 죽을 끓여 먹으면 좋다.
신장이 허약하여 허리와 다리에 힘이 없거나 이명 또는 어지럼증이 있을 때는 호두를 배합한다.
혈소판감소증에는 껍질이 있는 땅콩을 함께 쓴다.
머리가 빨리 하얗게 된 사람은 하수오를 배합한다.
 호마산 : 흑깨, 복령, 건지황, 천문동을 넣어 곱게 갈아 따뜻한 물에 타 먹으면 수명을 연장하고 허열을 내린다.
 상마환 : 상엽과 흑깨를 갈아 꿀이나 찹쌀풀을 넣어 환을 만들어 먹으면 간신부족으로 인한 안질환이나 피부건조, 변비에 효과적이다.
 거성주 : 흑깨, 율무, 건지황을 술 한말에 넣고 약 56일 후 하루에 한두 잔 공복에 먹으면 사지무력증, 허리와 다리에 힘이 부족할 때 효과가 있다.
 조고환 : 흑깨를 구증구포(찌고 말리기를 9회)하여 갈아 대추와 함께 환을 만들어 먹으면 하얀 머리가 까맣게 된다.

기타

고서문헌에 흑깨는 중초가 상하였거나 허약한 증상을 치료하고 기력을 튼튼하게 하고 근육을 자라게 하며 뇌수를 보충한다. 오래 먹으면 몸을 가볍게 하고 늙지 않게 한다. 보중익기작용이 있으며 더위와 추위를 잘 견디게 한다 하였다.

깨는 백깨와 흑깨로 구분하는데  흑깨가 질병 치료에 효과가 높다. 영양학적으로도 흑깨는 삼고 식품으로 불리는 칼슘, 철분, 고단백 식품이며 불포화지방산이 많아 성인병에 좋고 세포와 노화를 방지한다. 동양의학에서도 간장과 신장을 보하고 오장을 윤택하게 하며 노화를 방지하는 효능이 강한 양생식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