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고의 성질은 평하고 맛은 달다.
간, 위로 귀경한다.
효능
정기를 강화시킨다. 해독, 항암작용이 있다. 혈지방을 낮추고 기혈을 보한다.
기허로 인한 두훈, 빈혈, 백혈구 감소증, 노년기 기력 부족에 좋다.
면역력을 증강시키며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당뇨, 비만등의 성인병에 효과가 있다.
방사선 치료 후에 식용이 없을 때 좋고 만성간염, 지방간, 담석증에도 좋다.
신장염이나 변비에도 좋고 어린이 피부발진, 구루병에 효과가 있다.
건비개위 - 비(脾)를 튼튼하게 하고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
주의 & 부작용
표고는 만성 가려움증 피부병에 좋지 않다.
노루고기와 함께 먹으면 복통설사를 유발한다.
야생닭과 함께 먹으면 치질이 생길 수 있다.
요리 & 응용
칼리플라워와 배합하면 소화가 잘되고 고지혈증에 효과가 있으며 그 효능이 더욱 강해진다.
두부와 배합하면 항암작용, 혈지방을 낮추는 기능이 강해진다.
완두콩과 함께 먹으면 식용이 증진된다.
청경채와 먹으면 두뇌발달에 좋고 변비를 해소한다.
• 향고탕 : 표고, 뼈곰탕, 대파, 생강으로 탕을 끓여먹으면 어린이 구루병에 좋다.
• 표고볶음 : 표고와 양파를 볶아 먹으면 심장병에 좋다.
• 표고 동아탕 : 표고, 동아, 대파로 탕을 끓여 먹으면 노인 기력 증진에 좋고 고혈압, 심장병, 동맥경화, 당뇨, 수종에 좋다.
• 표고복령죽 : 표고, 쌀, 복령, 완두콩, 두부로 죽을 만들어 먹으면 비장과 위를 튼튼하게 하고 심신을 안정시킨다.
• 표고잡채탕 : 표고, 잡채, 대파, 돼지고기, 참기름, 전분, 소금, 후추로 탕을 끓여 먹으면 보중익기* 한다.
*보중익기(補中益氣) : 달리 보비익기(補脾益氣)라고도 함. 보기법(補氣法)의 하나. 중초[中焦 · 비위(脾胃)]를 강화하여 기허증(氣虛證)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비위는 기혈을 만드는 장부이기 때문에 비위를 튼튼하게 하는 것은 원기를 북돋우는 기본 방법이 된다. 예를 들면 비기(脾氣)가 허해서 팔다리에 힘이 없고 온 몸이 노곤하며 소화가 안 되고 대변이 묽고 항문이 빠져나오며 혀가 희끄무레하고 엷고 허연 설태가 끼며 맥박 상태가 유약(濡弱)한 증상이 나타날 때에 비위를 강화하는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이나 사군자탕(四君子湯)을 쓰는 것 등이다.
기타
고서, 문헌에 의하면 표고는 열독을 없애고 위에 유익하여 중초가 허약한 사람에게 좋다. 풍을 제거하고 혈액을 잘 통하게 하며 향은 발산작용을 한다. 습열로 인한 종장을 치료하고 향은 소화를 잘 되게 한다.
하였다.
현대의학 연구에 의하면 표고는 특수 아미노산이이 있어 뇨단백을 저하시키고 급, 만성신장염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동맥경화를 예방하며 항암, 면역작용이 증간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