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게의 성질은 차고 맛은 짜다.
간, 위로 귀경한다.
효능
열을 내리고 어혈을 풀어주며 경락을 통하게 한다. 상처를 잘 아물게 하고 절상 부위를 연결해주는 효과가 있다. *소종해독작용이 있다. 습열로 인한 황달에 좋고 어혈종통, 산후어혈복통에 효과가 있다. 출산전 힘이 없고 태아가 잘 나오지 않을 때 쓴다. 골절상, 화상, 종창에 좋다.
*소종해독 [消腫解毒] : 종기를 없애고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
주의 & 부작용
게의 성질은 아주 차기 때문에 평소 몸이 차고 변이 묽은 사람은 피하는게 좋고 생리, 임신기간에는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죽은 게는 부패가 빨라 먹지 말 것.
배, 참외, 감등의 과일과 함께 먹으면 소화가 잘 안된다. 감의 탄닌 성분은 게의 단백질을 단단하게 변형시켜 소화가 힘들다.
땅콩, 꿀, 키위, 석류, 토마토, 귤, 형개와 같이 먹으면 복통설사를 일으킨다.
미꾸라지와 상극이며 최악의 궁합이라 할 수 있겠다.
단호박과 함께 먹으면 음식중독을 일으킨다.
게와 샐러리는 단백질흡수를 방해한다.
계란과 함께 먹으면 변비에 걸린다.
게와 고구마는 결석을 생기게 한다.
방게와 가지는 모두 찬 성질이라 같이 먹으면 복통설사가 날 수 있다.
대추와 함께 먹으면 몸이 차가워지거나 완전 반대로 열병이 난다.
요리 & 응용
마늘과 배합하면 정기를 강하게 하고 해독한다.
생강, 깻잎, 식초를 배합하면 꽃게의 독소를 제거한다.
• 꽃게 분 : 꽃게를 말려 가루를 내어 하루 세 번 술에 타 먹으면 골절손상에 좋다.
• 게 산사가루 : 게와 산사를 말려 가루 내어 1:1로 술에 타 먹으면 산후 어혈로 인한 복통에 효과가 있다.
• 꽃게탕 : 열이나 혈이 막혀 가슴이 답답하고 식욕이 없는데 좋고 옻이 올라 가렵고 열이 나는데 좋다. 황달에 효과가 있다.
기타
문헌 '명의별록' 등에 꽃게는 혈이 뭉치는 것을 풀어주며 피부병을 낫게 하고 근을 튼튼하게 하며 기운을 만든다 하였다. 꽃게는 예로부터 백선지수라하여 해삼, 전복과 함께 수산삼진이라 불렀다. 가을에 특히 영영가치가 높다. '구자십옹'이라 하는데 9월에 암컷이 성장이 다 되어 살이 가장 많고 10월에는 수컷이 크고 좋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