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의 성질은 차며 맛은 쓰고 달다.
폐, 간으로 귀경한다.
효능
소풍청혈(바람으로 인해 생기는 병을 치료) 작용이 있고 간을 보하여 눈을 밝게한다. 해독소종하여 부기를 가라앉힌다. 심혈관 질병에 좋고 노화를 방지하는 장수식품이다. 고혈압에 좋고 두통에 효과가 있다. 눈이 충혈되고 부으며 아프거나 안저출혈에 효과가 있다. 동맥경화를 예방한다. 여름철 더위를 먹어 갈증이 심하고 가슴이 답답한 증상에 효과가 있다. 현훈*에 좋다.
*현훈(眩暈) : 뇌출혈로 인한 현기증.
현(眩)은 안목이 혼현(昏眩)함을 말하고, 훈(暈)은 두뇌의 훈전(暈轉)을 뜻한다. 본증(本證)은 외사(外邪)·칠정(七情)·신허(賢虛)·혈허(血虛)가 원인이다. 두훈(頭暈)으로 인해 안혼(眼昏)이 되는 것은 전현이라 하고, 안혼으로 인해 두훈이 되는 것은 목현(目眩)이라 한다. 머리가 어지러우며 무겁고, 눈이 흐려지는 것을 현모(眩冒)라 한다.
대개 체허(體虛)·간풍(肝風)·담기(痰氣)·정신자극 등의 요인이 관계되며, 임상상허증과 실증(實證)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허증이 많다. 허증은 대개 간신음허(肝腎陰虛) 또는 기혈이 부족하기 때문에 생긴다.
간신음허에 속하는 경우는 두목혼현(頭目昏眩)·정신부진(精神不振)
·유정이명(遺精耳鳴)·기증(氣症) 등을 나타낸다. 심비양허(心脾兩虛)에 속하는 경우는 심계실면(心悸矢眠)·체권(體倦)·소식(少食)·
면색백(面色白)·순색담백(脣色淡白)·기증 등을 나타낸다. 실증은 대개 간풍상요(肝風上擾)로 인해 생기며, 조색이로(躁色易怒)·실면다몽(矢眠多夢)·
구고(口苦)·두중(頭重)·다담(多痰)·흉민오심(胸悶惡心) 등의 증을 나타낸다.
주의 & 부작용
돼지고기는 국화와 어울리지 않아 복통설사, 음식중독을 일으킨다.
샐러리와 함께 먹으면 위, 장을 자극해 좋지 않다.
닭고기 함께 먹으면 위와 장에 자극을 준다.
위가 차고 통증이 있으며 변이 묽은 사람에게 좋지 않고 맛이 쓴 야국화는 먹으면 안 된다.
요리 & 응용
동물간과 함께 먹으면 안과질환에 좋다.
수세미와 배합하면 주근깨를 치료한다.
박하와 배합하면 더위를 식히고, 해독작용을 하며 정신을 안정시킨다.
• 국화차 : 머리를 맑게 하고 열을 내린다. 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 국화죽 : 국화와 쌀로 죽을 만들어 먹으면 간혈을 보하고 피부를 좋게 한다. 두통, 고혈압을 치료한다.
• 국화감초탕 : 국화와 감초로 탕을 만들어 먹으면 정창(뿌리 깊이 박힌 종기)중독에 좋다.
• 국화현맥음 : 국화, 현삼, 맥문동, 길경, 꿀을 넣고 끓여 마시면 감기로 목이 붓고 마른 기침에 효과가 있다.
• 국괴녹차음 : 국화, 아카시아꽃, 녹차를 끓여 먹으면 고혈압에 좋다.
• 국화결명자차 : 결명자, 국화, 한련초로 차를 만들어 먹으면 고혈압, 간질병전조증상에 효과가 있다.
기타
고서문헌에 국화는 요통을 치료하여 편안하게 하고 답답한 가슴에 좋고 위와 장을 편하게 해 오맥을 잘 통하게 하고 사지를 조절한다 하였다.
국화순은 채소로 쓰고 꽃은 음식에 넣어 먹으며 뿌리는 약으로 사용한다. 국화의 셀레늄은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크롬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는 콜레스테롤을 분해하고 배출하여 심혈관질환에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