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41

검정쌀 효능

검정쌀의 성질은 평하고 맛은 달다. 신장, 비장, 간으로 귀경한다. 효능 자음하며 신장을 보한다. 기운을 만들며 신체를 튼튼하게 한다. 눈을 밝게 한다. 활혈한다. 머리가 어지럽고 빈혈이 있을 때 좋다. 머리카락이 하얗게 변할 때 좋다. 시력이 떨어질 때 효과가 있다. 신장이 허약해 허리가 아프고 다리에 힘이 없을 때 좋다. 섬유질이 많고 소화속도가 느려 혈당을 빨리 울리지 않으므로 당뇨에 좋다. 칼륨과 마그네슘이 풍부해 고혈압, 심혈관질환에 좋다. 자음(滋陰) / 보음(補陰) : 달리 익음(益陰) · 양음(養陰) · 육음(育陰)이라고도 부름. 보법(補法)의 하나를 말한다. 음정(陰精)이 부족한 것을 강화하고 자양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심음(心陰)이 부족하여 가슴이 두근거리고 건망증이 있으며 잠을 잘..

곡물 2022.07.13

찹쌀 효능

찹쌀의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달다. 비장, 위, 폐로 귀경한다. 효능 중초를 보호하고 기운을 만든다. 비장을 튼튼하게 하고 설사를 멈추게 한다. 소변을 축적시키고 땀을 수렴한다. 해독한다. 비장과 위가 허약하여 설사를 자주 하거나 토사곽란 할 때 좋다. 자한, 도한, 다한증에 좋다. 혈이 허약하여 어지럽거나 신경쇠약, 폐결핵에 효과가 있다. 두창이나 치질에 좋다. - 자한(自汗) : 한증(汗證)의 하나. 깨어 있을 때 몸에 부담을 줌이 없이 저절로 나는 땀을 말한다. 주로 폐기(肺氣)가 허약하고 위양(衛陽)이 튼튼하지 못하여 생긴다. 그밖에 혈허(血虛), 담(痰)이 몰리거나 습사(濕邪)에 상하여서도 생긴다. 땀내는 약을 먹지 않았는데 늘 축축하게 땀이 나며 조금만 움직여도 심해진다. 일반 치료 원칙은 원..

곡물 2022.07.12

용어 설명

각기병(脚氣病) : 비타민 B1의 결핍에 의해서 생기는 질환. 쌀을 주식으로 하는 지방의 주민사이에 많이 발생한다. 주요증상은 다발성신경염에 의한 말초신경증상, 심근섬유의 변성에 따른 심장의 비대나 확장등의 순환기 증상이다. 인스턴트면류의 유행으로 1973년 무렵 일본에서 다시 발생했다. 이러한 것은 비타민 B1투여로 두드러지게 감소된다. 각혈(咯血) : 기도를 통해 나오는 출혈. 옛 의학서에는 객혈에 대하여 기침과 함께 피가 나오는 것을 해혈(咳血), 기침 없이 피가래를 뱉는 것을 수혈(嗽血)로 보았다. 그러나 지금은 그것들을 구분하지 않고 같은 뜻으로 객혈 또는 해혈(咳血)로 쓰고 있다. 음정(陰精)이 부족하여 화사(火邪)가 성하거나 폐(肺)에 조열사(燥熱邪)가 있을 때, 기타 외상에 의해서 생긴다...

카테고리 없음 2022.07.12

쌀 효능

쌀의 성질은 평하고 맛은 달다. 비장, 위로 귀경한다. 효능 중초를 보하고 기운을 만들며 비장을 튼튼하게 한다. 위를 편하게 한다. 이질, 설서를 멈추게 한다. 체력이 허약하거나 비위가 약하여 소화가 잘 안되고 권태감과 답답증이 있을 때 좋다. 소화기가 약한 노인이나 어린이 또는 병을 오래 앓고 있는 환자, 산모에게 아주 유익하다. - 중초(中焦) : 삼초(三焦)의 하나. 삼초의 중부를 말한다. 횡격막[또는 위(胃)의 분문(噴門)]에서 배꼽 부위[또는 위(胃)의 유문(幽門)]까지의 윗배에 해당한다. 중초에는 비위(脾胃)가 속해 있기 때문에 중초의 주요 기능은 비(脾) · 위(胃)의 기능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즉 비위(脾胃)가 음식물을 소화시키고 정미로운 물질을 흡수하여 온 몸을 영양하는 기능을 도와 ..

곡물 2022.07.11

사삼(잔대) 효능

사삼의 성질은 차고 맛은 달다. 폐, 위로 귀경한다. 효능 사삼은 더덕이 아니다. 사삼은 잔대다. 폐와 위의 음(각종 체액)을 보한다. 폐열을 내리고 인후를 잘 통하게 한다. 가래를 없애고 기침을 멈추게 한다. 폐결핵 같은 열성병을 앓은 후 마른기침, 도한, 저열에 효과가 있다. 폐음 부족, 폐열로 목이 마르고 잘 쉬는데 좋다. 말을 많이 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에게 좋다. 암, 당뇨, 건조종합증, 위축성위염에 효과가 있다. 주의 & 부작용 폐한기침(肺寒咳厥), 풍한감기로 인한 기침, 천식에는 좋지 않다. 여로는 사삼과 반대함으로 같이 쓰면 안 된다. 요리 & 응용 • 사삼 백합 오리탕 : 북사삼, 백합, 오리로 탕을 끓여 먹는다. 음허 폐결핵으로 각혈을 하는 사람에게 좋다. • 사삼 심폐탕 : 사삼, 옥..

약재 2022.07.08

속단 효능

속단의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쓰고 달며 맵다. 간, 신장으로 귀경한다. 효능 간, 신장을 튼튼하게 한다. 혈맥을 잘 통하게 한다. 근골은 연결시키는 접골작용이 강하다. 지혈한다. 태아를 안정시킨다. 간과 신장이 허약해 허리가 아프로고 다리에 힘이 없을 때 좋다. 풍습으로 인한 관절염에 효과가 있다. 넘어져 근골이 다쳤을 때 좋다. 유산기가 있거나 하혈이 있을 때 도움이 된다. 양위, 유정, 유뇨(소변이 저절로 나오는)에 좋다. 주의 & 부작용 습열로 생긴 유옹*, 장풍*, 나력*이 있을 때는 먹으면 안 된다. *유옹(乳癰) : 유방에 생기는 옹(癰)을 말함. 간기(肝氣)가 울결되고 위(胃)에 열이 막혀 머무르거나 또는 젖이 뭉쳐 쌓이므로 생긴다. 처음에는 젖에 굳은 응어리가 맺히고, 탱탱하면서 아프며, ..

약재 2022.07.08

음양곽 효능

음양곽의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맵고 달다. 간, 신장으로 귀경한다. 효능 신장을 튼튼하게 하고 양기를 돕는다. 근골을 튼튼하게 한다. 바람 때문에 생기는 병을 예방한다. 습을 제거한다. 남성 유정, 양위에 좋다. 몸이 허약해 발육이 늦을 때 좋다. 요실금에 도움이 된다. 자궁이 차서 임신이 안 되는 사람에게 도움이 된다. 신장이 허약해 허리와 사지가 아플 때 좋다. 반신불수를 치료한다. 주의 & 부작용 몸에 음(진액)이 부족하고 화가 올라오는 사람에게 좋지 않다. 요리 & 응용 육총용, 파극천, 두충과 함께 쓰면 양기를 만드는데 좋다. 위령선, 창이자, 천궁, 육계와 함께 쓰면 풍습성관절염에 좋다. • 음양곽주 : 백주에 음양곽을 담가 걸러 마신다. 양위, 조루, 사지마비에 도움이 된다. • 음양곽닭죽 ..

약재 2022.07.07

백작약 효능

백작약의 성질은 차고 맛은 쓰며 시다. 간, 비장으로 귀경한다. 효능 혈액을 만들고 음을 보한다. 간을 부드럽게 풀어준다. 통증을 가라앉힌다. 올라가 퍼지고 막힌 것을 통하게 하며 버린 것을 내보내는 간의 기능인 간양을 억제한다. 간에 혈액이 부족함을 돕고 생리불순에 좋다. 가슴과 옆구리 복부통증에 좋다. 사지가 오그라들거나 통증에 효과가 있다. 간양으로 인한 두통, 어지럼증(현훈)에 좋다. 땀을 멈추게 한다. 주의 & 부작용 양기가 허약해 나는 땀에 좋지 않다. 갈대의 종류인 여로와는 성질이 반대라 같이 쓰면 안 된다. 요리 & 응용 숙지, 당귀, 천궁과 함께 쓰면 혈액을 만든다. 시호, 백작, 당귀와 함께 쓰면 간과 비장을 어우러지고 잘 통하게 한다. 꾀하며 지킴이 맞지 않을 때는 계지와 함께 쓴다...

약재 2022.07.06

구척 효능

구척의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쓰고 달다. 간, 신장으로 귀경한다. 효능 한과 풍과 습을 제거한다. 간, 신장을 튼튼하게 한다. 허리와 무릎을 튼튼하게 한다. 풍습성관절염에 좋다. 허리와 척추를 강하게 하며 무릎 통증에 좋고 무릎에 힘이 들어가지 않을 때 효과가 있다. 신장이 허약해하는 요실금, 냉대하에 좋다. 주의 & 부작용 신장이 허해 열이 나고 소변을 잘 보지 못하며 색이 노랗고 붉을 사람에게 좋지 않다. 입이 쓰고 건조할 때도 조심히 써야 한다. 요리 & 응용 • 구척주 : 구척으로 술을 담아 먹으면 허리나 다리에 통증이 있을 때, 수족마비, 근골에 불편함이 있을 때 좋다. 기타 고서문헌에 의하면 구척은 요통, 풍사, 임증, 풍허를 치료한다 하였다.

약재 2022.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