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41

여정자 효능

여정자의 성질은 차고 맛은 달며 쓰다. 간, 신장으로 귀경한다. 효능 간과 신장을 튼튼하게 한다. 눈을 밝게 한다. 머리를 검게 하고 노화를 방지한다. 간과 신장이 허약해 허리에 통증이 있고 다리에 힘이 없을 때 효과가 있다. 어지럼증에 좋다. 주의 & 부작용 양기가 부족해 추위를 많이 타고 비장, 위장이 찬 사람에게 좋지 않다. 요리 & 응용 구기자와 효능이 비슷한데 함께 쓰면 효과가 배로 강해진다. • 오미양생계 : 황정, 구기자, 여정자, 하수오, 한련초는 천에 싸고 닭을 넣어 생강, 대파, 술, 소금으로 간하여 삶아 먹으면 간과 신장의 기혈이 부족해 오는 노화에 좋다. • 오자차 : 여정자, 구기자, 질여자, 차전자, 토사자, 백국화를 갈아 차로 우려 먹으면 눈이 침침하고 시력이 떨어질 때 좋다...

약재 2022.06.15

보골지 효능

보골지의 성질은 뜨겁고 맛은 쓰며 맵다. 비장, 신장으로 귀경한다. 효능 신장에 양기를 만든다. 비장을 튼튼하게 한다. 소변을 축적하고 설사를 멈추게 한다. 비장과 신장의 양기가 허약해 하는 설사에 효과적이다. 신장이 허약해 오는 허리통증, 무릎통증, 양위, 유정, 빈뇨에 좋다. 신장의 납기*가 약해 생기는 천식에 좋고 백전풍*을 치료한다. *납기(納氣) : 신(腎)의 기능의 하나. 들이쉰 숨을 받아들인다는 말이다. 옛 의학서에 폐(肺)는 숨을 내쉬는 것을 주관하고 신(腎)은 들이쉰 숨을 받아들이는 것을 주관한다고 했다. *백전풍(白癜風) : 달리 백박(白駁) · 백박풍(白駁風) · 백전(白癜)이라고도 부름. 피부에 흰 반점, 즉 색소탈실반이 생기는 병증을 말한다. 간기(肝氣)가 정체되고 기혈이 부족하거..

약재 2022.06.15

연자(연꽃 열매, 연씨) 효능

연자의 성질은 평하고 맛은 달며 떫다. 비장, 심장, 신장으로 귀경한다. 효능 정신을 안정시킨다. 혈액을 보한다. 비장을 튼튼하게 하여 설사를 멈추게 한다. 신장을 튼튼하게 하여 정기가 새 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체질 허약, 심기 부족으로 마음이 불안하고 불면증 증상에 효과가 있다. 남성 유정, 여성 냉대하에 좋다. 주의 & 부작용 연자의 떫은맛은 수렴작용을 하는데 평소 대변이 건조하고 변비가 있으면 피하고 체하여 배가 더부륵할 때는 좋지 않다. 요리 & 응용 융안육과 함께 쓰면 정신안정, 혈액을 보하는 효과가 강해진다. 비장을 튼튼하게 하여 설사를 멈추게 하려면 산약과 백편두와 함께 쓰면 더 좋다. 감실과 같이 쓰면 신장을 튼튼하게 하는 효능이 강해진다. 단호박과 함께 쓰면 심장병, 고혈압, 당뇨, 비..

약재 2022.06.14

목향 효능

목향의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맵고 쓰다. 비장, 위, 대장, 담으로 귀경한다. 효능 기운을 잘 통하게 하며 통증을 완화시킨다. 중초를 조절하여 소화를 돕고 비장을 튼튼하게 한다. 간, 담의 기운을 잘 통하게 한다. 배가 더부룩하고 식욕이 없고 소화가 되지 않을 때나 변이 묽은 증상에 좋다. 습열로 인한 이질, 변비에 효과가 있다. 황달에 좋고 기체로 심장에 통증이 있을 때 효과가 있다. 주의 & 부작용 장부에 조열(발열의 하나. 밀물처럼 일정한 시간에 나는 열)이 있거나 음이 허하고 진액이 없는 사람에게 좋지 않다. 요리 & 응용 사인, 곽향과 함께 쓰면 비장, 위의 기체에 좋다. 백출, 진피, 만삼과 함께 쓰면 비허기체에 좋다. 사인, 지실, 백출과 함께 쓰면 식체에 효과가 있다. • 목향 황련곱창찜 ..

약재 2022.06.14

모과(목과) 효능

모과의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시다. 간, 비장으로 귀경한다. 효능 근육을 부드럽게 한다. 경락을 잘 통하게 한다. 위를 편하게 한다. 습을 제거한다. 위산이 부족하고 윗배에 통증이 있으며 소화가 잘 안 되는 증상에 좋다. 진액이 부족하여 입이 자주 마르는데 좋다. 위경련, 사지경련에 효과가 있다. 풍습성관절염, 넘어져 생긴 좌상, 습과 열로 몸이 약해진 사람, 설사, 구토에 좋다. 근육 수축, 이완에 효과가 있다. 각기병*에 효과가 있다. *각기병(beriberi , 脚氣病) : 비타민 B1의 결핍에 의해서 생기는 질환. 쌀을 주식으로 하는 지방의 주민사이에 많이 발생한다. 주요증상은 다발성신경염에 의한 말초신경증상, 심근섬유의 변성에 따른 심장의 비대나 확장등의 순환기 증상이다. 인스턴트면류의 유행으로..

약재 2022.06.13

숙지황 효능

숙지황의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달다. 간, 신장으로 귀경한다. 효능 허약할 때 쓰는 대표 약재다. 혈액을 만든다. 음을 보하는 효능이 상당하고 신장에 정기를 더한다. 골수에 좋다. 주의 & 부작용 느끼해 소화가 어려우니 평소 소화력이 약하고 변이 묽으면 피한다. 장기간 복욕할 때는 진피나 사인을 함께 쓰는게 좋다. 숙지황과 무는 보하고 발산하는 반대의 성질이라 같이 쓰면 좋지 않다. 요리 & 응용 오징어와 함께 먹으면 생리불순, 하혈, 음허허열에 좋다. • 숙지죽 : 숙지, 쌀로 죽을 만들어 먹는다. 신장에 음이 부족하고 간혈 부족에 좋다. • 숙지주 : 숙지, 구기자, 침향, 백주로 술을 담가 10일 후에 마시면 좋다. 기타 고서문헌에 숙지황은 허약함을 보하여 머리를 검게 만든다. 골수를 채우고 근육을..

약재 2022.06.13

맥문동 효능

맥문동의 성질은 차고 맛은 달며 쓰다. 폐, 심장, 위로 귀경한다. 효능 폐를 튼튼하게 하고 음을 보한다. 위에 좋고 진액을 만들며 심장을 편하게 한다. 답답한 가슴에 효과가 있다. 피부미용에 좋고 노화를 방지한다. 폐용, 폐위축증, 폐결핵으로 각혈이나 마른기침을 하는데 좋다. 열병으로 진액이 부족하고 입이 마르거나 목이 건조하고 불면증이 있을 때 좋다. 위액 부족으로 식욕이 없고 맛을 느끼지 못하거나 위축성위염이 있을 때 효과가 있다. 암, 당뇨에 좋다. 주의 & 부작용 맥문동은 성질이 차기 때문에 풍한감기로 가래가 있거나 비장과 위가 약하고 차 변이 묽은 사람은 피한다. 목이버섯과 같이 쓰면 가슴 답답증이 생긴다. 붕어와 함께 쓰면 소화가 안된다. 요리 & 응용 돼지간을 함께 쓰면 빈혈, 시력감퇴, ..

약재 2022.06.13

생지황 효능

생지황의 성질은 차고 맛은 달며 쓰다. 심장, 간, 신장으로 귀경한다. 효능 기본 성질이 차므로 열을 내리게 하고 혈액을 식힌다. 음을 보하고 진액을 만든다. 음이 허해 발열이 나고 입이 마르는 증상에 좋다. 변이 건조할 때 좋다. 여성의 생리불순, 하혈, 태동불안에 효과가 있다. 신장에 음이 부족해 허화*가 상염*해 인후가 마르고 통증이 있을 때 좋다. 습진, 두드러기, 신경성피부염에 좋다. *허화(虛火) : 진음(眞陰)이 부족하여 생긴 화를 말한다. 실화(實火)에 상대되는 말이다. 일반적으로 허화는 음이 부족하여 생기기 때문에 허화가 있을 때는 음허(陰虛) 증상이 나타난다. 즉 양 볼이 벌게지고 미열이 나며 손발바닥이 달아오르고 가슴에 번열(煩熱)이 나면서 답답하고 수면 장애가 있으며 식은땀이 나고 ..

약재 2022.06.13

산조인 효능

산조인의 성질은 평하고 맛은 달다. 심장, 간으로 귀경한다. 효능 심장과 간을 튼튼하게 한다. 정신을 안정시킨다. 식은땀을 나지 않게 한다. 불면증, 가슴 두근거림, 무서움, 건만증, 꿈을 자주 꾸는 증상, 어지러움 등의 정신 불안정에 특효다. 심간음혈 부족으로 인한 모든 증상에 효과가 있다. 주의 & 부작용 평소 변이 묽은 사람이나 담이 있으면 피하는게 좋다. 부작용으로 피부 두드러기, 오한, 발열, 관절 시큰거림이 있을 수 있다. 요리 & 응용 생감초를 배합하여 자기전에 마시면 불면증에 좋다. 당귀, 백작, 용안육, 하수오와 함께 쓰면 심장의 혈을 보하는 효과가 강해진다. 오미자, 산수유, 황기와 배합하면 식은땀을 멈추게 한다. • 산조인전병 : 산조인가루, 인삼가루, 복신가루, 찹쌀가루, 밀가루로 ..

약재 2022.06.10